- 테스트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인 결함 식별을 위해 잘 확립된 결함 관리 프로세스가 필요하다.
- 보고된 이상 현상은 실제 결함일 수도, 아닐 수도 있다(긍정 오류, 변경 요청)
- 결함 보고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를 해결한다.
결함 관리 프로세스 구성
- 결함 관리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수명주기(SDLC) 모든 단계에서 보고될 수 있다.
- 보고 양식은 SDLC 단계에 따라 다르며,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가 이 프로세스를 따라야 한다.
- 결함 관리 프로세스에는 개별 이상 현상을 발견부터 종료까지 처리하는 작업 흐름(workflow)과 분류 규칙이 포함된다.
- 작업 흐름: 보고된 이상 현상 기록 → 분석 및 분류 → 적절한 대응책 결정(수정/유지) → 결함 보고 종료.
결함 보고서의 목적
- 결함을 처리 및 해결하는 책임을 진 사람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충분한 정보 제공
- 작업 결과물의 품질을 추적할 수 있는 수단 제공
- 개발 및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 제공
일반적인 결함 보고서의 구성 요소
- 고유 식별자
- 이상 현상 요약 제목
- 이상 현상 관찰 날짜, 보고 주체 조직, 작성자(역할 포함)
- 테스트 대상 및 테스트 환경 식별 정보
- 결함의 정황(예: 실행 중인 테스트 케이스, 수행 중인 테스트 활동, SDLC 단계, 사용 중인 테스트 기법/체크리스트/테스트 데이터 등)
- 이상 현상을 발견한 절차, 관련 테스트 로그, 데이터베이스 덤프, 스크린샷, 녹음 파일 등
- 기대 결과와 실제 결과
- 결함이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의 심각도
- 수정 우선순위
- 결함 상태(예: 신규, 연기, 중복, 수정 대기, 확인 테스트 대기, 재-오픈, 완료, 거부)
- 참조 사항(예: 관련 테스트 케이스)
결함 관리 도구
일부 데이터는 결함 관리 도구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포함된다(예: 식별자, 날짜, 작성자, 초기 상태 등)
결함 보고서 표준
ISO/IEC/IEEE 29113-3 표준에 결함 보고서 양식과 예시가 포함되어 있다. 이 표준에서는 결함 보고서를 인시던트 보고서로 지칭한다
'ISTQB > CTF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장 - 6.1. 테스팅 지원 도구, 6.2. 테스트 자동화의 효과와 리스크 (0) | 2024.10.28 |
---|---|
5.4. 형상 관리 (0) | 2024.10.26 |
5.3. 테스트 모니터링, 테스트 제어, 테스트 완료 (0) | 2024.10.25 |
5.2. 리스크 관리 (0) | 2024.10.24 |
5장 - 5.1. 테스트 계획 (2) | 2024.10.23 |